투자를 반드시 해야만 하는 이유
티스토리 첫 글이네요. 제 소개를 간단히 하자면 20대 직장인이며, 나름 나쁘지 않은 직장에서 적당한 급여를 받는 지극히 평범한 사람입니다. 아직도 갓 들어온 신입사원 같은 마음이지만 직장 갖게 된 지 벌써 2년 가까이 흘러버렸네요. 하지만 지금도 입사 합격을 받은 그날을 돌이켜보면 가슴이 두근두근하기만 하답니다.
1년 이상 취업에 실패하다 어렵사리 잡은 직장. 그리고 드디어 받게 된 첫 월급. 한창 돈 쓰고 싶을 나이인 20대.
제가 월급을 받자마자 한 게 무엇이었을까요?
바로 증권사 계좌를 개설 한 것입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가진 돈도 없이 참 무모한 자신감이었죠.
하지만 그 무모함이 없었다면 저는 지금까지 내 자산을 지키는 방법을 몰랐을 것이고, 회사 걱정, 노후 준비 걱정 등 돈으로 비롯된 막연한 걱정들을 안고 지냈을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천만다행인 것은 나름 짧은 기간에 저만의 투자 방법과 원칙을 정립하였고, 본업에 집중하면서도 마음이 평온한 투자를 해나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게 가능하냐고요?
주식은 위험한 거고, 무서운 거고, 제로섬 게임인 살 떨리는 판이라 불가능한 거라고요?
아니요. 직장인도 천천히 올바르게만 배운다면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전문가도 아니고 금융업 종사자도 아닌 평범한 직장인인 저도 하는데요 뭐.
아, 물론 저도 아직 많이 부족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더 열심히 배우고, 이 공간에 정리해 두려고요.
투자 하루 이틀 할 거 아니잖아요?
아무튼 서론이 길었네요.
주제로 넘어가 보면 저는 모든 사람에게 투자는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왜 투자를 해야만 할까요?
1. 투자는 생존의 영역이다.
먹고사는데 여유가 있다면 굳이 복잡하게 투자를 할 필요가 있을까요?
의식주중 한 부분인 집값.
우리가 지내는 공간이 그동안 내 월급에 비해 얼마나 올랐나 확인해봅시다.
가구 연평균 소득 대비 주택 가격 비율인 PIR이라는 지표입니다. 소득 대비 가격의 적정성을 나타낼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서울의 경우 2018년 최근 PIR이 8의 의미는 8년 동안 일해야 주택 하나를 살 수 있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아파트 혹은 강남이라면 훨~씬 오래 걸리겠죠?
부동산은 실물자산이니까 장기간 오른다고 쳐봅시다.
그럼 내 월급이란 놈은 왜 뒤처져서 비율이 점점 벌어지는 걸까요?
혹시 우리나라 회사들이 그간 성장하지 못해서 내 월급도 못 오른 게 아닐까요?
1990년도부터 2016년까지 기업은 358% 소득이 증가한 데에 비해 가계는 90%밖에 못 미치네요. 기업이 벌어들이는 이익 대비 내 소득(월급)은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겠죠?
회사는 계속 발전하는데 나한테 떨어지는 부분이 작다고 할 수 있겠네요. 해석의 차이가 있겠으나 이는 노동의 가치가 줄어든다고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계속 글을 써보며 보여드리겠지만 이러한 현상은 단기적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발생되고, 우리나라에만 국한된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충분히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노동소득이 갑자기 없어진다면?
첫 번째 주제와 이어지는 발상입니다. 노동가치가 있는 상황에는 갈수록 팍팍해져 갈 뿐 어찌어찌 생존은 해왔습니다. 하지만 혹시라도 일찍 회사를 그만두거나 아프기라도 해서 내 노동가치가 상실되면 어떻게 하실 건가요?
부업을 꾸준히 하신 게 아니라면 별다른 수단이 없어 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본소득(Capital Income)을 만들어 두는 연습을 어릴 때부터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 자료를 보시죠.
100명당 65세 이상의 인구비율을 나타낸 표입니다. 노란색이 현재(2020년도)이고 빨간색이 미래(2060)년도 비율을 나타낸 것이죠. 현재 한국의 65세 이상의 인구 비율이 현재는 20% 정도이지만, 향후 엄청나게 올라갈 것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료에서는 노인 빈곤율이 한국이 20% 이상으로 정말 높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기사 몇 개 가져와 봤습니다.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00816/30550494/1
[은퇴 특강]노후대비 이것만은부동산에 편중된 자산구조의 함정
■ 지금까지는…불안한 ‘하우스 푸어’전체 자산의 85% 부동산에 묶여…정작 목돈 필요할 땐 우왕좌왕우리나라 가계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6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76…
www.donga.com
한국 노인 분들의 금융자산은 거의 전무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꽤나 과거 자료이긴 하지만 지금도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물론, 주식을 한다고 부동산이 안 좋은 자산이란 것은 아닙니다. 노후에는 근로소득이 없으니 자본으로부터 발생되는 현금흐름이 중요한데, 한 가지 자산군에 높은 비중으로 쏠려있다는 것이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다음은 조금 최근 자료입니다.
http://www.mk.co.kr/news/economy/view/2019/01/7228/
"한국인 은퇴전 금융자산 8920만원…은퇴후 생활비 어찌하리오" - 매일경제
한국인 은퇴전 가구의 금융자산은 평균 8920만원에 불과하고, 은퇴를 앞둔 50대 절반이상이 적정생활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KB금융그룹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18 KB골든라이프보고서`를 내놓았다. 서울 및 수도권과 광역
www.mk.co.kr
평생을 일했는데 국민연금 이외에 노후 대책이 없는 상황이네요. 대게 적정 생활비의 65%만이 조달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과연 이 현상이 개인의 문제만 일까요? 금융지식이 부족한 개인의 문제일 수도 있겠죠.
하지만 돈에 대해 교육하지 않고, 돈을 멀리하고 관심 가지지 않고 살아온 사회 문화도 한몫하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길게 말씀드렸습니다만 우리가 투자를 해 아하는 이유는 한마디로 '자산 가격 상승, 노동가치 하락, 부족한 노후대비'으로 이해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다음 편에는 자산에 올라타는 이유, 어떤 자산을 주로 투자해야 하는지, 꾸준히 투자했을 때 결과는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투자마인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치투자란 무엇인가? (0) | 2020.04.21 |
---|---|
투자를 반드시 해야하는 이유 3편 (0) | 2020.04.18 |
투자를 반드시 해야하는 이유 2편 (0) | 2020.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