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투자란 무엇일까?
오늘은 가치투자란 무엇인지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까합니다. 아니, 퀀트 투자자인데 무슨 가치투자냐 하고 말할 수 있겠지만 사실 모든 투자 전략은 본질적으로 같습니다. 바로 원칙을 지키는 것이죠. 어떤 전략을 어떻게 쓰던 논리가 명확하고 원칙을 지킬 수 있으면 수익은 당연시 따라오기 마련입니다. 따라서 가치투자를 한다고 트레이더를 무시할 필요 없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죠. 다 그들만의 사고의 논리와 철학이 있기에 배울점만 배우면 됩니다.
아무튼 오늘은 가치투자를 배워봅시다. 물론 저는 가치투자를 하지도 않고 자세히는 모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치투자의 명가 VIP자산운용의 최준철 대표님의 신입사원 강의를 요약하며 설명해보고자 합니다. 정말 빨려들어가듯이 몰입감있게 본 것 같네요.
1. 벤자민 그레이엄
가치투자란 무엇일까를 물어보면 보통은 저렴하고 우량한 주식을 사서 장기간 보유하고 판다. 이런 부류의 대답을 들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가치투자의 정의가 아닙니다. 정의라 함은 어떤 것의 본질이지 그것의 방법은 아니기 떄문입니다. 따라서 가치투자의 정의 부터 명확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가치투자를 누가 만들었고 어떻게 정의 내렸는지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마치 제가 한국형 가치투자자인 최준철 대표님을 살펴보듯이 말이죠. 가치투자자의 창시자는 제목에서와 같이 벤자민 그레이엄 입니다.
벤자민 그레이엄은 가치투자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습니다.
"철저한 분석을 바탕으로 투자원금의 안정성과 적당한 수익이 보장되는 행위를 말한다."
여기서 우리는 2가지 사실을 뽑아 볼 수 있습니다. 바로 투자원금의 안정성과 적당한 수익 입니다. 이를 만족하기 위해 철저한 분석을 하는 것이 가치투자라는 것이죠. 달리 말하면 Low Risk & Medium Return 으로 표현할 수 있겠습니다. 기존의 High Risk & High Return 이라고 생각하는 경제 이론과는 많이 다르죠?
자, 여기서 우리가 한가지 더 주목할 것은 Risk입니다. Risk의 일반적 정의는 무엇일까요?
"Risk is the potential that a chosen action or activity will lead to a loss"
요약하자면 손실로 연결될 가능성으로 투자의 세계에서는 돈을 잃는 것 자체를 Risk로 부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조금 더 자세히 말씀드리면 가치투자에서 돈을 잃는 것은 '영구 자본손실'이라 불립니다.
2. Risk를 줄이기 위한 방법
여기까지 가치투자의 정의가 무엇인지, 그리고 Risk는 무엇인지 알아보았습니다. 정리하자면 가치투자는 낮은 Risk를 가져가야 하고 이를 위해서 영구적으로 돈을 잃지 않는것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Risk를 줄일까요? 바로 두가지 전략이 있습니다.
1) Discounted Price
쉽게 이야기 하면 싸게 사자 입니다. 가령 내가 서울사는 사람인데 아무것도 모르는 제주도에 부동산을 산다고 해봅시다. 그리고 5억에 팔린다는 소문을 들었습니다. 하지만 가보지도 않았고, 물이샐 수 도있고, 주민들이 건설을 반대할 수 도 있고 등의 문제점이 있습니다. 이때 당연한 소리겠지만 저는 4억에 사는게 안전할까요 3억에 사는게 안전할까요? 주식도 이와 같습니다. 기업의 가치대비 최대한 낮은 가격인지 확인하고 들어가는 것이 Risk를 줄이는 방법이죠.
2) High Quality
다음 방법은 조금 가격이 비싸더라도 예측이 가능한 우량 기업을 사는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Risk는 예측이 틀렸을때 발생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기업을 보다보면 미래 발생할 수 있는 Risk가 낮게 느껴지는 것이 있죠. 버핏이 오랜기간 투자한 코카콜라가 그렇습니다. 30년 후에도 코카콜라는 팔릴 것이고, 경쟁자들이 함부러 진입하지 못하는 시장이니 예측이 왠만해서는 틀리지 않는 주식이구나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꼭 낮은가격이 아니더라도 Risk가 낮다고 판단할 수 있도록 버핏이 개념을 확장한 것이죠. 최대표님은 이 전략을 주로 사용하신다고 하네요.
여기서 2가지 이외에 다른것도 가치투자 아니냐? 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네 물론 보는 관점에 따라 그럴 수 있죠. 하지만 그레이엄이 만들고 버핏이 확장한 범주까지를 전통적인 가치투자로 인정하고 공부하겠다는 겁니다.
3. Return을 높이는 방법
낮은 Risk를 알아보았다면 이제 Return에 대해 알아볼 차례인데요. 가치투자에서의 Return은 단기적으로 높은 수익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Medium Return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물론 여기서 복리 효과가 작용해 결국 High Return으로 연결되기도 합니다. 실제로 버핏이 몸소 증명했는데 오랜기간 투자하며 50대가 넘어서야 세계적인 부자의 반열에 이르렀죠. 따라서 단기적으로 욕심을 줄이고 장기적으로 합리적인 수익을 기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 그럼 우리가 지금까지 배운 Low Risk & Medium Return 을 합쳐서 생각해보면 Downside Risk는 최소로 하고 Upside Return은 최대로 하는 것 입니다. 대표님은 대표적인 예로 SK홀딩스를 들었습니다. SK홀딩스는 14.6조의 시가총액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계열사들의 모든 가치를 계산해보면 20~25조 밴드 형태의 가치를 지닌다고 합니다. 실제 가치대비 가격이 낮다고 판단할 수 있죠. 그리고 이 회사는 예측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내재가치를 가진 우량한 기업이기 때문에 선호를 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주가가 더 떨어질 위험은 적고, 주가가 더 오를 가능성은 높은 상태인셈이죠.
여기까지 가치투자가 무엇인지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은 최대표님이 실제로 사용하는 전략을 통해 가치투자를 어떻게 접근하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제가 나름대로 정리한거라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니 꼭 영상 시청 바랍니다.
가치투자 제대로 알기_자산운용사 실제 신입 교육영상 대방출(1부)(VIP 자산운용 최준철 대표 강의 1부)
https://www.youtube.com/watch?v=etH0Pmv3aP0&list=PLdiN3aLn63lrEn_hn7Q6oDADjXAAckKFI
'투자마인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를 반드시 해야하는 이유 3편 (0) | 2020.04.18 |
---|---|
투자를 반드시 해야하는 이유 2편 (0) | 2020.04.17 |
투자를 반드시 해야만 하는 이유 (0) | 2020.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