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β-올웨더 포트폴리오(All Weather)

투자에서 상관관계가 그토록 중요한 이유

투자에서 상관관계가 그토록 중요한 이유

이번엔 투자에 있어서 자산배분에 대한 글을 한번 써보려고 합니다. 요즘 경제나 금융 시스템이 위태롭다는 이야기가 많으니 리스크를 줄여라 자산을 다각화하라 등의 말도 굉장히 자주 나오는 것 같아요.

 

'분산투자'란 도대체 뭘까요? 나누면 수익도 못 보고 별로 안 좋은 건 아닐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이는 상관관계에 라는 것 때문에 위험은 줄이고 수익을 정상적으로 가져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이 상관관계에 대해 간략히 이야기해보겠습니다. 

1. 날이 흐리다 ≒ 비가 온다?

 

어두운 하늘

 

갑자기 뜬금없는 소리지만 날이 흐리면 항상 비가 올까요?

당연히 우리는 직관적으로 항상 그런 건 아니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날이 흐린 건 비가 오는 것과 '상관'은 있을 거야 라고 생각해볼지 모릅니다.

 

아주 간단하게 이를 상관관계의 개념이라고 하는데,

 

날이 흐린데 무조건 비가 온다면 상관관계는 1

날이 흐린데 무조건 비가 안 온다면 상관관계는 0

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근거 없는 제 생각으로는 흐림과 비의 상관관계는 아마 0.3~0.7 정도 될 것 같네요? 

 

비 이야기인 듯 싶지만 투자 얘기로 넘어가보면 자산 시장에도 이와 같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그리고 이를 이용해 적금과 같이 안정적이면서 주식과 같은 수익을 쫒아갈 수 있게 됩니다.

 
어떻게 자산의 분산이 가능하냐고요? 우리는 세상에 있는 수 많은 자산을 증권사를 통해 손쉽게 거래할 수 있는 세상에 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증권사 앱으로 미국 부동산을 간단히 살 수 도 있습니다. 그렇기에 핸드폰만 있어도 자산들의 아름다운 수익 곡선을 따라갈 수 있죠.

 

https://quantstory.tistory.com/7

 

투자를 반드시 해야하는 이유 2편

투자를 반드시 해야 하는 이유 2편 첫 번째 편은 투자를 반드시 해야 하는 이유를 '자산 가격 상승, 노동가치 하락, 부족한 노후대비'를 예로 들어 필요성을 말씀드렸습니다. 어찌 보면 '이런 거 하지 않으면 큰일..

quantstory.tistory.com

앞서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 2편에서 자산에 올라타야 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어찌 되었던 간 주식은 '우상향'합니다. 우리는 이를 믿고 주식이란 롤러코스터에 올라타되 상관관계를 이용해 최대한 재미없고(?) 완만하게 만드는 것이 목표가 되겠습니다.

 

아래 두 그래프를 봅시다.

 

 

만약 왼쪽 그림처럼 우상향 하지 않는 자산군을 가져갔을 때 우리가 기대할 수 있는 수익은 0입니다. 하지만 오른쪽 그림처럼 우상향 하는 상관관계가 반대인 자산을 샀을 때 우리는 변동성이 전혀 없는 아름다운 우상향 곡선 그래프를 얻을 수 있습니다. 주식과 채권이 대표적으로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자산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죠.

 

2. 변동성을 줄여야 할까?

여기까지 들으면 그냥 주식 몰빵 하면 언젠가 오르는 거 아니야? 뭐하러 복잡하게 분산을 해 라고 생각을 하실 수도 있습니다. 네. 그렇게 하셔도 되지만 주식의 변동성은 인간이 버티기 힘든 수준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개미들이 샀다 팔았다 하면서 맨날 깨지는 이유기도 하죠.

 

 

기간별 주식을 보유했을 때의 승률입니다. 언젠가는 우상향 하기 때문에 하루 보유했을때 53%에 비해 1년 74% 10년 93%로 수익이 늘어남을 알 수 있죠. 하지만 이런 차트만 믿고 실제에 임하면 큰일날 수 도 있습니다.

 

다음 그림을 보시죠.

 

비트코인 차트

 

우리가 잘 알고 한 번쯤 투자도 해본 비트코인입니다. 비트코인은 어찌 되었든 간에 과거에 비해 조금 올랐지만 주변에 돈을 번 사람은 10%도 안되는 것 같습니다. 극심한 변동성을 겪으며 공포에 샀다 팔았다를 반복했기 때문이죠. 주식은 이와 다르게 장기적 우상향 하는 자산이야 라고 생각하셔도 실제로 투자를 하게되면 하루하루를 살아오는 우리는 출렁이는 가격 덕분에 비트코인과 비슷한 느낌을 받으실 겁니다.

 

이는 인간의 두뇌는 단기적 변동성에 엄청나게 취약하여 ‘장기적 투자’가 힘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반드시 변동성을 줄여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죠. 이에 대한 조금 더 깊은 이야기는 투자 심리 편에서 '우리가 주식투자에서 깨질 수밖에 없는 이유'편을 쓰며 설명드리겠습니다.

 

간단히 설명드리려다 길어져버렸네요. 오늘은 여기까지하고 다음편에는 실제로 변동성을 줄이면 어떤 수익이 나타날 지 간단히 포트폴리오로 백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